엔트리 급에서 독보적인 위치에 있는 제품이 바로 이케아 노트다. 14,900원의 저렴한 가격으로 무시할 수도 있지만, 빛을 공간에 넓게 비추는 목적으로는 충분하다. 성인 남성 평균 키만 한 높이와 적당한 각도로 천장에 빛을 비추는 갓을 통해 조명 하나만으로도 공간을 충분히 환하게 밝힌다. 군더더기 없이 기능적인 디자인은 어느 스타일의 공간에서도 무던하게 어울린다. 다만, 전원을 켜지 않았을 때 조금 싸 보이는 건 어쩔 수 없다.
집사로서 동거묘의 화장실을 관리하는 일은 꽤 곤욕스럽다. 고양이 모래로 뭉쳐진 ‘감자’는 냄새가 고약하다. 고양이의 모든 점이 사랑스럽지만 감자 냄새는 예외다.
감자는 냄새가 나고 벌레가 꼬일 수 있기에 바로 쓰레기통에 버릴 수 없다. 따로 위생봉지나 검은 비닐봉지로 감싸주어야 한다. 문제는 봉지를 화장실 근처에 거치해두기가 불편하고, 매번 봉지를 뜯고 묶는 것도 번거롭고, 잘 묶어서 버려도 새어 나오는 냄새를 막을 수는 없다는 것이다.
감자 캐는 것을 더 즐겁고 편리하게
오늘 소개할 리터락커는 감자를 더 즐겁고 편리하게 캘 수 있게 도와준다. 감자만을 위한 휴지통으로 매번 비닐을 찾아서 뜯고 묶을 필요가 없고 냄새를 최대한 덜 맡을 수 있게 설계되었다.
평일 아침처럼 바쁘고 피곤할 때는 밀리타 아로마 보이를 사용한다. 커피 메이커인 아로마보이는 분쇄된 원두와 물을 넣고 버튼을 눌러 추출하는 제품이다. 추출과정만 자동화되어 있으며, 필터 드립 방식으로 원두 본연의 맛을 느낄 수 있다. 캡슐 커피처럼 간편하게 내릴 수 있지만, 입맛에 맞는 원두를 찾아다니는 즐거움을 포기하지 않아도 된다. 특히 5만 원 이하의 가격대로 입문용 커피 메이커로 충분히 쓸만하다.
이런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필터 커피를 집에서 간편하게 즐기시고 싶은 분
다양한 원두를 경험해보고 싶으신 분
핸드 드립이 숙련되지 않거나 귀찮은 분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할 분
1-2인용을 찾으시는 분
생각보다 잘 내리는 아로마 보이
아로마 보이 리뷰를 보면 ‘생각보다’라는 단어가 심심치 않게 보인다. 정말 생각보다 괜찮게 추출을 해준다. 일정한 유속, 유량, 온도로 내려주니 숙련되지 않은 손으로 내린 것보다 나을지도 모른다. 대신 원두의 분쇄 정도와 물의 양은 여전히 변수라서 이를 조절해가며 원하는 맛을 찾아가는 것은 사용자의 몫이다.
3분 내로 커피 두 잔을
사용법은 간단하다. 밀리타 전용 아로마 필터를 접고, 분쇄한 원두를 넣고, 물을 붓고,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된다. 전동 그라인더가 있으면 더할 나위 없이 편하다. 때때로 기본 밀리타 드리퍼에 물이 골고루 퍼지지 않을 때도 있는데, 그때는 한 번 휘저어주면 좋다. 특히 빠르게 내려주는 것도 매력적인데, 물을 MAX까지 꽉 채워 2잔(350mL)을 내리는데 3분 정도 걸린다. 추출이 끝나면 40분까지 보온도 된다. 오래 보온하면 본연의 맛은 떨어질지 몰라도 따뜻한 커피가 식은 커피보다 맛있는 건 어쩔 수 없다.
쌀쌀해질수록 침대는 더 아늑해진다. 따뜻하게 데워진 이불 속에서 귤을 까먹으며 책을 읽고, 영화를 보는 재미는 겨울이 기다려지는 이유다. 그뿐인가. 몸살에 걸린 식구를 위해 침대 위 식사를 대접할 수도 있고, 사랑하는 이를 위해 간단한 아침도 준비해줄 수 있다. 적당한 침대트레이가 있다면 누구나 누릴 수 있는 호사다.
침대트레이는 어렵지 않은 물건이다. 적당한 크기의 트레이에 접을 수 있는 다리가 있으면 된다. 비싸지도 않다. 아니 비싼 제품이 없다. 그러다 보니 저렴한 양산형 제품들이 많고, 딱 원하는 트레이를 찾기는 쉽지 않다.
이케아 유라는 이상적인 침대트레이에 가장 근접한 제품이다. 하얀 트레이와 부드러운 곡선의 원목으로 아늑한 느낌을 준다. 가벼운 무게에, 불필요하게 달린 손잡이도 없다. 대신 트레이 아래쪽에 굴곡을 주어 편안하게 잡을 수 있도록 배려했다. 적절한 각도로 지탱하는 다리는 이불 위에서도 제 몫을 다할 것 같다. 가격은 또 저렴해서 14,900원 밖에 하지 않는다.
아쉬운 점이 없지는 않다. 나사가 노출되지 않고 좀 더 좋은 목재를 사용했다면 더 완성도가 높았을 것 같다. 특히 다리를 접은 채로 고정할 수 없는 점이 가장 아쉽다. 고정할 수 있게 고정쇠 하나만 더 있었더라면, 다리를 접은 채로도 사용하기 좋았을 것 같다.
집중이 안 될 때면 일단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을 쓴다. 그리고 평소 작업할 때 듣는 앨범을 튼다. 운동선수들이 경기 전 헤드폰을 끼고 컨디션을 조절하는 것처럼 음악을 통해 집중을 끌어내는 편이다.
이처럼 노이즈 캔슬링은 단지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집중해서 일하기 위한 생산성 도구이기도 하다. 소음은 막아주고, 집중은 도와주는 음악으로 언제 어디서나 온전히 일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준다.
단순히 음악을 감상하기 위한 목적이 아닌, 작업용 헤드폰을 고를 때는 고려해야 할 우선순위도 다르다.
1. 무엇보다 착용감이 가장 중요하다. 오랫동안 사용해도 귀가 아프지 않아야 한다. 일이나 공부를 할 때 1시간은 기본이고 그 이상 장시간 사용하기 때문이다. 딱딱한 헤드셋이나 귀가 아픈 커널형 제품을 사용해보면 귀가 아파서 오래 쓰지 못한다.
2. 노이즈 캔슬링 성능은 좋을수록 좋지만, 일정 수준만 넘어도 충분하다. 완벽한 차음은 쉽지 않고, 소음이 좀 들리는 것 같으면 볼륨을 높이면 된다.
3. 덜 부담스러운 소리일수록, 배터리는 오래 갈수록 좋다. 작업할 때 음악은 감상을 위한 것이 아니라, 배경 음악으로 듣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소리가 너무 가까이서 들려도 아쉽다. 특히 에어팟 프로 같은 커널형 이어폰이 그렇다. 그리고 배터리는 작업의 흐름을 깨지 않도록 충분히 오래가야 한다.
Bose의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 QC35는 위 조건들을 모두, 충분히, 만족한다. 2016년에 출시되었지만 아직도 많은 이들이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제품인 까닭이다. 푹신한 귀마개와 가벼운 무게로 오랫동안 착용해도 귀가 아프지 않다. 한 번씩 끼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버릴 수준이다. 수준급의 노이즈 캔슬링 성능은 물론이다. 가장 먼저 파일럿을 위해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을 만든 회사가 Bose다. 게다가 헤드폰이기에 귀에 이물감도 없고 적당한 거리감으로 음악을 배경처럼 흘려듣기도 좋다. 배터리는 한 번 충전하면 20시간은 가서 작업 도중에 충전할 필요가 없다. 일에 집중하기 위해 노이즈 캔슬링 제품을 찾고 있다면, QC35는 아직도 강력한 우승 후보다.
번외. 집중을 위한 앨범들
책을 읽고, 글을 쓰고, 사진을 편집하고, 이미지를 만들고, 코드를 작성할 때 음악을 듣는 편이다. 작업의 성격에 따라 듣는 앨범이 다른데, 일에 필요한 리듬이 다르기 때문이다.
작업할 때 즐겨 듣는 앨범들을 소개한다. 앨범은 통으로 듣는 편이며 차례대로 느린 템포에서 빠른 템포 순이다. 책을 읽거나, 생각할 때처럼 고요하게 집중할 때는 Brian Eno의 “Ambient 1: Music for Airports”를 듣는다. 글을 쓰거나 코드를 작성할 때처럼 조금 더 템포를 올리고 싶으면 Hiroshi Yoshimura의 “Wet Land”를 듣고, 몸을 쓰거나 반복적인 일을 할 때는 Solange의 “When I Get Home”이나 Jamie XX의 “In Colour”를 듣는다.
1. Brian Eno – Ambient 1: Music for Airports
브라이언 이노가 1978년에 낸 앨범으로, ‘Ambient’라는 표현 혹은 장르가 시작된 기념비적인 앨범. 고요하고 평온하고 차분한 사운드로 집중을 돕는다.
2. Hiroshi Yoshimura – Wet Land
일본 앰비언트 장르의 선구나 히로시 요시무라가 1993년에 낸 앨범. 차분하지만 좀 더 흥미로운 사운드로 집중을 돕는다. 그의 음악은 어떤 심상을 불러일으키는데요, 이 앨범이 마음에 드셨다면 ‘Soundscape 1: Surround’도 추천.
3. Solange – When I Get Home
비욘세의 동생인 솔란지가 2019년에 낸 팝 앨범. 보통 가사가 있으면 집중에 방해가 되는데, 반복되는 후렴구와 빠르지 않은 템포로 신기하게도 집중이 잘 된다. Ambient가 너무 심심할 때 추천.
https://youtube.com/watch?v=Q55AVeXzqeE
4. Jamie XX – In Colour
The XX의 멤버인 제이미가 2015년에 낸 앨범. 다양한 장르가 혼합되어 있으며 앞서 소개한 앨범들보다 확실히 빠른 템포. 반복적인 작업이나 빠르고 정확하게 해치워야 하는 작업에 좋다. 전체 앨범 링크가 없어 좋아하는 두 트랙을 뽑았다.
가만 보면 신발 신는 것은 생각보다 불편한 일이다. 한 번에 신을 수 있으면 다행이고, 아니면 신발을 신기 위해 입구를 손가락으로 벌려서 발을 밀어 넣어야 한다. 마음이 급하면 일단 구겨 신고 입구를 나선 후, 다시 숙여서 손가락을 집어넣기도 한다. 뒷꿈치에 손가락이 끼지나 않으면 다행이다. 우리는 이런 불편을 겪지 않기 위해 구둣주걱을 사용한다. 적어도 손가락 끼일 일도 없고 훨씬 빨리 신을 수 있다.
구둣주걱은 막상 사려면 마땅한 제품이 잘 없다. 조잡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거나 할아버지 집에 있을 것처럼 생긴 제품이 많다. 이런 구둣주걱의 세계에 구세주 같은 제품이 바로 이케아의 옴텡크삼 구둣주걱이다. 스틸 재질이기에 평생 쓸 수 있을 것 같은 내구성에 얇은 두께로 신을 때도 편하다. 무엇보다 80cm에 이르는 길이로 허리를 굽힐 필요가 없어서 좋다. 가격은 4,900원.
‘보살핀다’는 의미의 옴텡크삼
옴텡크삼은 제품명이 아니라 제품 라인이다. 노인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일상생활을 무리 없이 영위할 수 있게 만든 제품인데,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중시했다.
“인정하고 싶지는 않지만 삶 속에서 때로는 집에 도움이 좀 더 필요한 시간들이 있죠. 임신 중에 더욱 든든하게 받쳐주는 의자가 필요할 수도 있고, 마라톤으로 지친 몸에는 긴 구둣주걱이 간절할 수도 있으며, 나이가 들면서 일상 활동에 도움이 필요할 수도 있어요. 그래서 OMTÄNKSAM 옴텡크삼 제품군을 선보이게 되었습니다. 인체공학자, 물리치료사, 의료 업계 연구원 등에게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디자인한 제품이어서 집안에서의 활동이 더욱 안전하고 간편하고 편안해지죠. 스웨덴어로 ‘보살핀다’는 의미의 OMTÄNKSAM 옴텡크삼이라는 이름이 잘 어울립니다. ”
이불과 패딩을 비롯한 겨울옷은 부피가 커서 보관하는 게 늘 문제다. 종이박스에 넣자니 뚜껑이 잘 안 닫힌다. 그냥 비닐봉지에 넣어두자니 부피가 커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 그래서 보통 가방처럼 지퍼가 달린 수납 박스를 사용한다. 보통은 패브릭을 주요 소재로 사용하기에 가격이 훨씬 비싸다. 페르클라는 이런 가방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비닐로 만들어 가격을 크게 줄였다. 이 실용적이고 귀여운 가방이 현재 2,500원에 판매 중이다.
단순히 원가만 절약하기 위해 비닐로 만들진 않은 것 같다. 이런 종류의 수납 박스는 보통 열지 않으면 내용물을 확인하기 힘든데, 비닐로 만들다 보니 자연스레 반투명하게 내용물이 비친다. 이렇게 열지 않아도 안에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시중의 수납 박스들과 차별화된 장점이다.
페르클라는 보통 옷장 위 천장 사이 공간이나 바닥 공간을 많이 활용하는데 이때 꺼내기 쉽게 고리가 있다. 커다란 손잡이를 달아놨으면 미관상 보기도 그렇고 불필요하게 과했을 수 있는데 딱 필요한 만큼의 크기다. 게다가 오렌지색으로 눈에도 잘 띈다.
맺으며
공간이 부족해 압축팩으로 보관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필요가 없다면, 환절기 옷가지와 이불을 보관하기 위해 페르클라 수납 박스만큼 적당한 제품도 잘 없다. 압축하면 오히려 다시 사용할 때 구겨진 걸 피고 부풀린다고 고생하기도 해서, 페르클라가 더 나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페르클라는 옷가지나 이불 같은 패브릭 외에도 계절 가전이나 신발들 여러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어 좀 더 다양하게 활용하기도 좋다.
세척 브러시를 사용해서 설거지하면 눌어붙은 음식도 더 쉽게 떼어낼 수 있다는 것을 혼자 산 지 10년 차에 알았다. 좀 억울했다. 가정에서 사용하지 않았고 학교에서도 가르쳐 주지 않았다. 음식점에서 파트 타임으로 그렇게 일했는데 브러시를 사용한 곳은 한 곳도 없었다.
이제는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설거지는 세척 브러시와 수세미가 모두 필요하다. 있으면 좋은 것이 아니다. 이건 필요의 수준이다. 세척 브러시를 한번 시도해보고 싶은 분들께 입문용 설거지 브러시로 이케아 린니그 식기 세척 브러시를 추천한다. 세척 브러시가 설거지를 얼마나 쉽게 해주는지 1,500원에 경험할 수 있다.